독일어 문법

독일어 문법 정리하기 : 9) 관사류의 변화와 용법

insight_ 2025. 1. 14. 10:14
반응형
SMALL
SMALL
반응형
8) 정관사와 부정관사 에서 배운 내용이 언급되니 이전 정리를 꼭 숙지하고 따라와주세요!! 여덟번째 정리에서 다룬 세 가지 변화표를 펼쳐놓고 다음 내용을 알아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~!

 

아홉 번째로 '관사류의 변화와 용법' 를 정리하겠습니다.

 앞서 배웠던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변화를 자세히 관찰해보면 서로 관련이 없는 독립적인 변화 체계가 아님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. 따라서 독일어의 관사류(정관사, 부정관사)의 어미 체계를 표로 정리하여 나타낼 수 있습니다.

  남성 여성 중성 복수
1격 -er* -e -es* -e
2격 -es -er -es -er
3격 -em -er -em -en
4격 -en -e -es* -e

 

 위 표에서 여성과 복수의 1, 4격은 -ie로 실현되기도 합니다. (e 중첩이 되거나 발음상의 이유로) 또, 중성 1, 4격은 -as로 실현되기도 합니다. 이때 *표시가 있는 곳, 즉 남성 1격과 중성 1, 4격에서는 어미변화를 일으키지 않는 경우도 있음을 유념해야 합니다. 이러한 경우는 부정관사 ein, kein과 소유대명사가 있습니다.

 

 독일어에는 관사류 이외에도 대명사, 형용사 등 격변화를 일으키는 문법범주가 많이 있음을 8)의 정리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. 그 모든 격변화는 위의 표에 근간을 두고 있기 때문에 위 표는 매우! 매우~ 중요하다는 사실 알아주세요!!

 

 다음 예문을 통해 관사류의 어미변화를 더 자세히 설명해보겠습니다.


“Die Mutter liebt ihr Kind.” 어머니는 아이를 사랑한다.


 관사류의 어미변화는 뒤따르는 명사의 성, 수, 격을 표시하기 위한 것으로, 위 예문의 경우 소유대명사(ihr)가 어미를 취하지 않았기 때문에 뒤따르는 명사의 성, 수, 격을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. 하지만 뒤따르는 명사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.

 

" 그렇다면 반대로 뒤따르는 명사로부터 정보를 얻을 수 없다면 반드시 명사의 성, 수, 격을 드러낼 수 있도록 어미변화에 맞춰 어미를 취해야 합니다. "

 

 (Mutter 앞에 Die라는 정관사를 붙여 성, 수, 격을 표현하듯)

 

 독일어의 관사류는 변화유형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. 부정관사(ein), kein, 소유대명사는 부정관사의 변화를 따르는 부정관사류로, 그 밖의 관사류는 모두 정관사와 같이 변화하여 정관사류로 나눕니다.

 몇 가지 중요한 정관사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.

 [1] dies-, jen-, jed-

 [2] derselb-, derjenig-, solch-

 [3] all-, manch-, viel-, mehr-, wenig-, weniger-

 

 정관사류의 변화와 쓰임은 다음 글 9)-1. 정관사류의 변화 에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 관사류의 규칙은 크게 어려운 게 없습니다. 하지만, 관사류의 변화와 쓰임이나 대명사, 형용사 등의 격변화에도 사용될 때 규칙만을 따르지 않고 각종 예외의 경우가 나타나기 때문에 많이 헷갈리고, 어렵게 다가올 수 있습니다.

 

 바로 다음으로 정리할 내용이 10) 형용사의 변화 이기 때문에 이번 내용은 꼭! 제대로 알고 넘어가는 것이 오늘의 핵심일 것 같습니다. 그럼 오늘 내용은 한 번 더 정리하고 공부하며 암기하고 넘어가세요~!~!~!!

 

다음 정리할 내용은 '형용사 변화' 입니다. 다음 글에서 만나요~

 

 

반응형
LIST